본문 바로가기

감염관리5

감염병의 임상적 단계 감염은 감염성 미생물에 의하여 생산된 대사산물의 숙주에 대한 손상 정도에 따라 급성감염 또는 만성감염으로 분류된다. 보통 급성감염은 병원성 미생물에 의해 만들어 지는 독소나 대사산물이 숙주에게 손상을 가해 지속적으로 증상을 악화시키는 특징이 있다. 만성감염은 감염성 미생물에 의해 만들어진 대사산물이 숙주 내에서 반응을 일으키지 않는 기생체에 의하여 발생한다. 이때 감염 미생물은 숙주의 방어작용에 대해 생존할 수 있고, 장기간 어느 정도의 손상능력을 보유하고 있다. 급성 또는 만성감염병 중 어떤 경우는 병원성 미생물이 어떠한 대사산물도 생성하지 않으면서 숙주 조직 내에 존재하기도 하는데 이를 잠복감염(latent infection)이라 한다. 이때 숙주의 방어기제와 면역저하 시 잠복감염은 증상을 일으킨다... 2024. 1. 29.
감염병의 형성과정 2 감염 미생물의 전파경로 감염성은 병원체 즉 미생물의 특성과 전달성뿐만 아니라 새로운 숙주로의 감염성 물질의 전파경로와 병원성에 의존한다. 병원체(미생물)가 인체에 들어올 수 있는 주요 감염경로에는 호흡기계, 위장관계, 피부와 점막표면, 비뇨생식기계 4가지 경로가 있다. 특히 호흡기계와 위장관계의 배출물은 신체로부터 배출되어 물이나 우유 또는 음식을 통해 위장관계에 감염된다. 피부와 점막표면의 노출된 부위의 감염성 배출물들은 손이나 다른 매개체 또는 사람 간의 접촉에 의하여 넓게 확산이 된다. 감염자, 동물 또는 곤충으로부터 감수성이 있는 사람에게까지 감염성 물질들을 전파하는 기본적인 방법은 첫째, 살아있는 감염된 숙주와의 직접 접촉에 의해 둘째로 감염병에 감염된 숙주로부터 얻은 감염성 물질에 간접 접촉에.. 2024. 1. 29.
감염병의 형성과정 1 앞 글에서 언급했듯이 감염(Infection)이란 세균, 바이러스, 진균, 기생충 같은 미생물이 숙주(host) 내에 침입해서 증식하는 상태를 말하고 이러한 미생물의 감염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질병을 감염병(Infectious disease)이라고 한다. 이러한 미생물들이 질병을 유발하거나 감염병을 일으키게 할 수 있는 능력을 병원성(pathogenicity)이라고 한다. 병원성에는 다음과 같은 다양한 요인이 포함된다. 병원성(pathogenicity)은 병원체가 숙주에게 질병을 일으킬 수 있는 능력을 말합니다. 병원성은 병원체의 종류, 숙주의 면역 상태, 환경 요인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병원성은 다음과 같은 요인에 의해 결정됩니다. 독력(Virulence): 미생물이 생산하는.. 2024. 1. 28.
감염과 감염병에 대하여 2(의료관련감염) 오늘은 두 번째 이야기로 의료관련감염(healthcare-associated infection, HAI)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의료관련감염이란 입원뿐만 아니라 외래 진료를 포함해 의료기관 내에서 의료행위와 관련하여 발생한 감염을 말하는데 여기에는 의료기관근무자 등 관련 종사들의 감염까지 포함한다. 의료관련감염은 의료기관 환경에 의해 감염이 발생하는 질병으로 의료기관이 설립된 이래로 현재까지 많은 문제가 되어왔으며 앞으로도 의료행위를 하는 데 많은 문제가 될 것으로 예상되어지고 있다. 감염병의 확산 방지를 위하여 18세기 이후로 천연두(smallpox) , 흑사병(Black Death, Plague) 결핵( tuberculosis, TB) 과 같은 감염성 질환을 가진 환자들을 격리하였다. 18세기 당시 .. 2024. 1. 27.